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아동기의 발달과업은 특정 시기에 성취해야 하는 과제로, 그 사회구성원의 기대 뿐만 아니라 본인 스스로 기대되는 사회적 역할을 포함한다. 한 개인이 각 발달단계에서 반드시 이루어야 하는 기술, 지식, 기능, 태도이며, 신체적 성숙이나 사회적 기대 그리고 개인적 노력을 통해서 얻어지는 것이다. 아동발달의 단계는 태내기, 신생아기,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로 구분된다.

    영아기
    영아기

    태내기의 특징 및 구분

    태내기는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이 이루어지는 수태의 순간부터 출산까지의 약 9개월 기간으로 약 266일, 38주의 기간을 의미한다. 비교적 짧지만 인간발달의 기본을 이루는 중요한 시기이며, 이 시기에 기본적 신체구조와 기관을 형성하며 발아기, 배아기, 태아기의 3단계로 구분된다. 발아기는 수정 후 2주까지의 기간으로 수정된 세포에서 계속해서 세포분열이 일어나고, 수정 후 일주일에서 10일 이내에 자궁벽에 수정란의 착상이 이루어진다. 배아기는 수정 후 3주에서 8주까지의 시기로 인간 생존에 필요한 주요기관과 신경계통이 분화되고 형성된다. 태내 환경의 영향에 의해 가장 영향을 받기 쉬운 취약한 시기이기도 하다. 태아기는 임신 9주부터 출생까지의 시기로, 인간으로서 필요한 모든 기관이 형성되고 기능이 발달한다. 태반이 완성되어 태아는 탯줄을 통해 모체로부터 산소와 영양분을 전달받고, 태아의 분비물은 모체의 혈액을 통해서 바깥으로 배설된다. 태내기의 발달이 출생이후 성장과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고, 태내발달은 어머니의 영양, 연령, 신체적, 정서적 상태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가임 여성은 더욱이 건강에 유의해야 한다.

    신생아기의 신체적 특징과 반사행동

    신생아기는 출생 후 1개월간의 시기를 가리킨다. 신체적 특징을 살펴보면 신장은 50cm, 체중은 3~3.5kg이고 신생아의 머리는 신장의 1/4로 신장에 비해 매우 크다. 두개골 뼈는 단단하지 않고 봉합되지 않았으며, 여섯 개의 숫구멍이라고 불리우는 연한 부분이 있다. 하루 평균15~20시간의 수면을 취하는데 건강한 아기일수록 잘잔다. 신생아는 선천적으로 특정한 자극에 의해 촉발되는 여러가지 반사행동을 가지고 태어나 환경에 적응하는데, 이 반사행동들은 정상적인 신경계 발달과정을 통해 생후 1년 이내에 대부분 사라지거나 의식적인 행동으로 대체된다. 신생아는 어머니와 분리되어 외부환경에 적응해야 한다. 다양한 자극에 원활히 적응하기는 쉽지 않지만 시각, 청각, 촉각 후각, 미각 등의 자극을 느끼고 적응해간다. 인간의 전체 생애 중 짧은 기간이지만 태내환경과 태내 밖의 외부환경의 차이로 가장 격변하는 시기이다. 그러므로 양육자는 주변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세심한 관심과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영아기의 운동능력 발달과 언어발달

    영아기는 신생아기 이후부터 만 2세까지 제 1성장 급등기로 불리우는 시기로 인간의 일생에서 신체적 성장 및 운동능력의 발달이 가장 급속도로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반사운동, 기기, 앉기, 서기, 보행, 파악 기능 등이 발달하고, 타인의 도움 없이 스스로 이동하고 움직일 수 있는 독립적 존재로 발달하며, 운동기능이 발달한다. 영아기는 자기신체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면서 의존적인 상태에서 벗어나 독립적인 힘을 가지며, 보행기능과 파악기능을 획득하여 기본적 운동능력이 형성된다. 감각적 경험과 운동능력이 발달되어 반사적 행동과 선천적 지각능력을 바탕으로 환경탐색을 시도한다. 24개월엔 대상영속성이 완전하게 획득하여 놀잇감을 찾는 행동을 한다. 언어발달은 울음, 소리내기, 옹알이, 몸짓등의 전 언어단계와 언어단계를 거치면서 발달한다. 생후 1년 전후에 하나의 단어를 사용하고 18~20개월에 두 개의 단어를 연결하여 문장을 사용한다. 사회정서 발달은 '기질'과 '애착'을 바탕으로 출생 후 1년 사이에 형성되는데 아동기와 성인기 성격의 기초가 된다.  화를 잘 내는 특성, 부정적 정서, 까다로움 등의 기질적 특성은 위축 및 공격 등의 행동문제와 관계가 있으며, 새로운 것에 두려워하는 영아는 내향적이고 사회적 불안을 많이 보인다.  영아와 양육자 간에 형성된 애착은 이후의 사회정서 발달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반응형